[사설]“서민들이 먹고 살기 정말 힘들다”는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조사결과가 또 다시 나왔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에서 서민들의 삶이 고통스럽다는 것이다.

국회의장실이 한국갤럽에 조사의뢰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과 비교해 1.0% 상승했지만 체감 물가 상승률은 공식지표의 9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공식 실업률도 3.7%로 4%를 밑돌았지만 체감 실업률은 무려 11%가 넘었다.

무엇보다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경제고통지수는 공식지표보다 12배나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하니 삶의 무게가 이제는 고통의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경제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에서 국민소득 증가율을 제한 것이다.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공식 경제고통지수보다 큰 것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체감 지표가 공식지표보다 크고, 체감 경제성장률은 공식지표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업률(3.7%)보다 7.7%포인트 높은 11.4%로 나타났다. 일할 의사가 있고 일자리가 주어지면 당장 일할 수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거나 오랜 구직활동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취업 자체를 포기한 '니트족' 등이 공식 실업자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오늘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은 우리경제가 경기침체 속의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경제가 실질적으로는 이미 스태그플레이션에 진입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장기적 경기침체 속에 물가만 상승한다면 서민들의 고통은 이중 삼중 배가될 것은 자명하다. 체감 경제고통이 크면 국민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당국과 정치권은 하루가 멀다하고 서민들의 고통을 확인해주는 숱한 통계치에 담긴 의미를 직시해야 한다. 청년층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좌절하고 서민들의 삶이 경기침체로 파탄에 빠질 수 있는 절대절명의 위기상황이라는 점을 제대로 봐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은 청년층, 고령층의 체감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 중산층 서민의 주거비, 의료비, 교육비, 통신비 등 고정지출 부담을 줄이고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낮춰 가처분 소득을 늘려야 한다. 아울러 체감 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 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데일리시사닷컴]
저작권자 © 데일리시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