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연구원, 빅데이터 분석결과 유입인구 50%(중앙값)가 7km 반경 내에서 이동하고, 유입인구가 대부분(전체의 75%) 15.5km 반경 내에서 이동
- 국토연구원, 인구이동 분석모형 시범 적용 결과를 통해 주택공급 관련 계획 및 정책 효과 분석 필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시사닷컴]택지지구 내 신규 주택으로 이동한 14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입 택지지구와 이전 거주지(행정동) 간의 직선거리가 140만 명 중 절반(중앙값)은 7km 반경 내에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발행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구이동 분석모형 개발과 활용 : 택지지구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이주한 140만 명의 전입 택지지구와 이전 거주지(행정동) 간의 직선거리를 측정한 결과, 유입인구의 50%(중앙값)가 7km 반경 내에서 이동하고, 유입인구가 대부분(전체의 75%) 15.5km 반경 내에서 이동하였다.

택지지구 유형별로 유입인구의 이동거리 중앙값(전체의 50%)을 비교한 결과 수도권 내 택지지구는 약 7.7km, 비수도권 혁신/행복도시는 약 10.5km, 비수도권 일반 택지지구는 약 6.0km로 ‘비수도권 일반 택지지구’-‘수도권 택지지구’-‘비수도권 혁신/행복도시’ 순으로 근거리 이동 비중이 높았다. 

한편 국토연구원은 “비수도권의 경우 일자리와 함께 조성된 혁신/행복도시 택지지구 유형은 수도권 인구가 지방으로 이동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그 외 택지지구 유형은 같은 시군구 내에서의 이동을 촉발하여 구도심 쇠퇴에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하였다.

이는 ‘비수도권 혁신/행복도시’ 내 주택공급이 양질의 일자리와 연계되어 30~40대 유입인구 비중이 높고, 특히 수도권 등 원거리에서 이동한 인구의 비중이 높아 지방으로의 인구 재배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반면 ‘비수도권 일반 택지지구’ 내 주택공급의 경우 같은 기초지자체 및 광역지자체에서 유입된 인구의 비중이 각각 50%, 71% 이상이고 주요 전출지가 구도심으로 나타나 중장기적으로 구도심 쇠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택지개발을 통한 주택공급 유형을 위치와 근거제도에 따라 ‘수도권 택지지구’, ‘비수도권 혁신/행복도시’, ‘비수도권 일반 택지지구’로 구분하여 내부유입률을 비교하면, ‘수도권 택지지구’의 주택공급은 다른 지역(지자체) 인구가 유입되는 효과, ‘비수도권 혁신/행복도시’의 주택공급은 원거리(20km 초과)로부터의 인구이동을 촉발하는 효과, ‘비수도권 일반 택지지구’의 주택공급은 동일 시군구 내에서의 인구이동을 촉발하는 영향을 확인되었다.

국토연구원은 “주택공급 유형별로 제시한 유입거리 분포와 내부유입률을 활용하여 택지개발을 통해 주택을 공급했을 때, 그 지역으로 유입되는 인구의 공간적 범위와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어 “인구이동 분석모형 시범 적용 결과를 통해 주택공급 관련 계획 및 정책 효과를 분석하고, 다음 계획에 환류 할 수 있다”고 보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을 조언하였다.

이외에도 “인구이동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국토계획과 정책을 과학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도구와 시각화 대시보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서비스와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시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