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 평가손 2분기 실적 반영...컨퍼런스콜 언급없어
우리은행 “고객 손실과 무관..은폐하거나 지연한 사실 없어”

[사진=우리은행. 연합]
[사진=우리은행. 연합]

[데일리시사닷컴] 올해 그룹 5년 차를 맞은 우리금융이 시끄럽다. 우리은행이 주가연계증권(ELS) 파생 거래에서 1000억원에 가까운 평가손실을 낸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와 관련해 최근 부행장을 포함한 임직원 7명에 대해 대규모 징계 처분을 내렸다.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문제가 또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온 형국이다. 이는 최근 직원들의 거액 횡령에 이은 대형 악재로 우리은행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안도 커지면서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새 수장을 맞은 우리금융그룹은 ‘지주는 전략, 자회사는 영업’, 젊고 역동적인 리더십을 통해 성장동력을 지속 확보해나가는 한편 영업현장과 고객 중심의 경영 체제를 공고히 하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등 경영에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은행이 주가연계증권(ELS) 운용 과정에서 1000억원에 달하는 파생상품 손실이 발생해 올 2분기 실적에 반영한 사실이 드러났지만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 내용을 실적발표에서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해 시장과의 소통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6월 자체적으로 리스크관리 실태점검을 실시한 결과 주식파생상품 관련된 평가손실 962억원이 발생했음을 발견하고, 이를 2분기에 손실 처리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트레이딩부는 ELS상품 관련 파생거래에서 시장가격 변동에 따라 평가손실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고 담당 딜러가 평가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장기옵션거래 확대를 통한 헷지전략을 실행했으나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라 평가손실을 회복하지 못했다.

문제는 1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음에도 우리금융지주의 2분기와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관련 손실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었단 점이다. 통상 일회성 요인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경우 구체적인 손실 내역을 밝혀 시장에 혼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업설명회(IR)의 역할이지만 우리은행은 3분기가 지나서야 관련 내용을 밝혔다. 주주 및 투자자 등 대외소통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우리은행 측은 지난해 발생한 700억원 횡령 사건에 이어 또 다시 터진 대형 악재에 이번엔 오히려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한 사례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번 손실을 은폐하거나 지연한 사실이 없고 고객들이 입는 피해도 없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은 "담당 딜러는 평가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장기옵션거래 확대를 통한 헷지전략을 실행했으나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라 평가손실을 회복하지 못했다"면서 "1000개 이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동성이 산출되는데, 이러한 수많은 변수들이 급격한 시장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평가액과 실제 시장가액 사이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우리은행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선 이번 손실이 고객 자금을 기반으로 투자했기 때문에 수익성이 줄면 결국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은행의 경우 2분기와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파생상품 평가손실에 대해 알리지 않았단 점에선 평가손실 사실을 은폐하려 한 것이 아니냔 의혹이 일각에서 불거지면서 우려와 비판의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은행은 최근 징계위원회를 열고 파생상품 손실과 관련된 임직원 7명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했다. 3명은 중징계 처분을 받았고 나머지 4명에게는 경징계가 내려졌다. 올해 3월까지 자금시장그룹장을 지낸 강신국 부행장은 ‘견책’ 처분이 결정됐다. 

한편 금융당국은 금융사에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하며 책무구조도 도입 등 내부통제 책임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데일리시사닷컴은 이와 관련해 정확한 입장을 듣기위해 수차례 우리은행 측과 연락을 시도했지만 "추후 연락을 취하겠다"는 답변밖에 들을 수 없었다. 

저작권자 © 데일리시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